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특집 [특집]평가 너머를 위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오늘과 내일 - 학교도서관 평가의 필요성과 문제점 - 가치와 현실을 제대로 담아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3-01-06 16:48 조회 18,915회 댓글 0건

본문

경영을 위해서는 평가가 필요하다
학교도서관의 경영 목적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교 교육 목적 달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학교 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활용교육과 독서교육 등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활동이 통합적이고 범교과적임을 고려할 때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설비, 자료, 예산은 물론 인적자원까지도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운영을 위해서 조직되고 운영된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평가는 단순히 물리적기준의 달성 수준을 진단하는 활동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한 요소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조직의 측면에서 평가는 경영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학교도서관 경영은 우선 핵심가치 중에서 자관의 특성에 맞는 역할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경영계획을 수립한 후에 서비스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평가는 서비스를 통해서 적용된 학교도서관의 역할 수행 정도에 대한 성과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자원의 재분배와 역할 조정을 통해서 핵심가치의 재선정에 반영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평가는 경영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경영의 개념 요소인 관리와 전략 그리고 운영의 측면에서 평가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경영 목적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교육 공동체의 요구를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성과 점검을 통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기여도와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학교도서관 경영자인 사서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도서관의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강점과 단점 그리고 기회와 위협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교사와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대와 참여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의 질 개선에 필요한 예산 편성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자체가 갖는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부여받은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학교 공동체의 협력을 촉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역할의 확장에 필요한 운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발전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우리 학교도서관 평가의 현실적 문제와 한계
국내 학교도서관 현장에 직접 적용된 평가 기준은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2003년–2007년)의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2003년에 개발한 「학교도서관 평가 기준」이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평가에 적용되고 있는 기준이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가 전국 도서관 평가를 위해서 개발한 「전국도서관운영평가지표」이다. 이 지표에 포함된 2011년도 학교도서관 평가 기준을 살펴보면 시설・설비, 자료, 인력자원, 정보・교육서비스, 운영・예산 등 5개의 평가영역과 총 18개의 평가 항목 그리고 31개의 평가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평가는 ‘도서관법’(법률 제1055호)에 의하여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마련한 기준과 척도를 기반으로 문화체육관광부(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가 진행하는 외부평가 방식이다. 또한 학교도서관 운영 자원 및 서비스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우수 도서관을 선정하는 평가인정모형을 채택하고 있다. 평가 방법은 자원의 수량과 성취에 대한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양적 평가방식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현행 학교도서관 평가의 현실적 문제점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결과의 정책 수렴 구조 취약 이 문제는 평가 주체와 학교도서관 정책수립 및 장학 주체 간의 불일치에서 발생한다. 즉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가 마련한 평가 기준과 평가일정에 따라서 전국도서관운영평가에 단위 학교도서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공모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그 결과를 교육과학기술부나 시・도교육청의 학교도서관 정책과 장학에 반영하는 데는 행정 체계상 구조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평가 주체와 정책 개발 주체의 이원화 및 상호작용 부족은 궁극적으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반영하지 못한 평가항목 및 지표 현행 ‘학교도서관진흥법’(법률 제11310호)에서는 ‘도서관법’(법률 제9528호)에서 정한 업무 수행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지역사회를 위하여 개방할 수 있으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게 학부모·노인·장애인, 그 밖의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IFLA/UNESCO의 「학교도서관운영지침」1)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공공도서관 등 외부 공동체와의 상호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외부 공동체와의 상호협력은 평가 기준에서 제외된 상태이다.

즉 현행 평가 기준이 학교도서관 경영의 중요한 핵심가치를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이것은 “상호협력이 학교도서관의 무리한 시설 개방과 비정규직 확대 배치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교내 서비스마저도 위협받고 있다는 상황을 반영한 것”2)이다. 즉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과 협력을 “서비스의 확대보다는 비정규직을 통한 시설의 개방으로 몰아감으로써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외면과 교육적 역할에 대한 왜곡을 심화시키고, 단순히 물리적 관리 대상으로만 여기는 인식이 팽배하고 있다”3)는 반증인 셈이다.

셋째, 평가항목 및 지표의 비현실성 이미 학교도서관이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냉난방설비, 프린터, 멀티미디어 PC 등이 평가지표에 여전히 포함되어 있고, 도서관협력수업 등에서 실제 활용도가 높은 음향설비나 실물화상기 등이 누락되어 있다. 또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이 통합 운영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배치율이 현저히 낮은 상태에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을 하나의 평가지표로 묶어 놓은 것만으로는 어떤 수준의 정보활용능력이 교과 수업에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기 어렵다. 그리고 교과 주제별로 활용하는 자료와 정보의 유형과 활용능력이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장서구성과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서관활용수업 참여교과도 평가지표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넷째, 평가 참여율 저조 및 특수학교도서관 평가의 한계 2008년 이후 전국도서관운영평가에 참여한 학교도서관은 전체 학교의 14~16% 수준으로 매우 낮다.

이것은 평가 자체가 공모제로 강제성이 없다는 점, 그리고 평가주체가 문화체육관광부라는 제도적 문제와 함께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때문이다. 이러한 낮은 평가 참여율은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 진단과 분석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전향적인 정책 개발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료 수집을 어렵게 할 수밖에 없다. 또한 현행 학교도서관 평가 기준 및 지표는 일반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을 주 봉사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교도서관과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의 경우에는 장애인편의시설과 같이 단일 설문 문항(보조설비)만으로는 적절한 평가를 받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1)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IFLA) and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2002.School Library Guidelines. [cited. 2012. 10. 05].<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14.

2) 송기호 등, 2011,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116-117.

3)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원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21(4). 22.

4)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2012, 「2011전국도서관운영평가결과보고서」,178-179.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