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탐방 [외국도서관을 가다- 미국 학교도서관]독서와 학교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2-03-14 21:52 조회 12,205회 댓글 0건

본문

얼마 전 소위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정부의 시도를 보며 독서와
독서 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 없이 교육 신념만으로 추진되는 독서교육 정책에 매
우 난감함을 느꼈다. 독서의 결과물은 빠르고 쉽게 그리고 즉흥적으로 기록할 수 있
는 행위가 아니고 또한 빠르고 쉽게 그리고 즉흥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그러한 정책
의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학생들에게 갈 터이기에 필자는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을 도
입하려는 시도에 심히 우려를 표한다.

독서가 영유아기부터 시작되어 초중고를 거쳐 발전적으로 성취되어야 할 과제임
은 반대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독서를 마치 교과목의 하나로 여기면서 교과목 시험
의 결과물을 평가하듯 독서의 결과물을 평가하려는 정책적 시도는 어떠한 독서가 이
로운 독서이고 왜 독서가 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강조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이해가 전무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미국 학교도서관계에서 논하는 독서와 독서지도를 소개하면서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미국의 학교도서관계는 학교교육의 전선에서 독서와 독서교육
의 방향성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 왔다. 학술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여러 연구의 결과
물들은 독서지도의 근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국내에서도 역시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결과를 확실한 근거로 삼아 독서지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주
장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본 글을 통하여 필자는 학술연구로서 증명이
된 독서지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핵심 개념 몇 가지를 소개하겠다.

▨ 학교교육의 관점에서는 논하는 독서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미국 학교도서관계의 연구들은 독서를 학교교육의 관점
에서 논한다는 점을 미리 언급해야겠다. 즉 독서와 학교교육 과정과의 관련성을 증명
하는 관점에서 다룬다. 국내에서 우리는 독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독서
는 좋은 것이며 전인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추상적이며 궁극적인 목적을 이야기하
는 경향이 짙다. 그러나 미국의 학교도서관계는 이러한 궁극의 목적을 이야기함과 동
시에, 구체적으로 독서는 학생들의 어휘력, 독해, 작문 실력 등에 도움이 된다는 관점
에서 이야기한다. 이러한 관점은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연구를 가능하도록 하여
독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점이 있다.

문명사회에서 독서는 모든 지적 활동의 기본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된 미국식 독서
교육의 관점은, 독서가 중요하다고 해서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동떨어진
교과로 인식하는 것을 경계한다. 독서는 모든 교육활동을 위한 기반활동이라는 개념
이 바탕에 굳건히 깔려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독서를 과목화하지 않으며 결과를 위
한 독서와 독서결과물을 강제하지 않는다.

하나, 자유로운 자발적 독서가 중요하다
먼저 ‘독서’를 글자 그대로 풀이해 보면 ‘책 읽기’이다. 그런데 영어식으로 표현하면
일반적으로 ‘reading’이고 글자 그대로 ‘읽기’라고 번역할 수 있다. 이러한 읽기활동
은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그 어떤 목
적을 가진 독서이든 읽는 이의 자발성은 독서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독서
지도에 관련하여 미국 학교도서관계의 가장 확고한 믿음 중 하나가 바로 자유로운 자
발적 독서의 힘이다. 그러한 믿음의 저변에는, 자유로움과 자발성은 강력한 독서 동
기이며 이는 곧 학생들의 학업성적과 연관성을 보인다는 실제 연구결과가 바탕에 있
다. 전통적인 독서교육 방식(즉 주어진 도서 또는 본문을 읽고 독해하는 연습을 하는
방식)과 자유로운 자발적 독서를 비교한 연구에서, 자유롭고 자발적인 독서를 지속
적으로 하는 54명의 학생 중 51명이 독해 시험에서 주입식 독해교육을 받은 학생들보
다 높은 성적을 보였다는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1) 또한 그 외 많은 연구들은 일관적
으로 자유롭고 자발적인 독서를 하는 학생들이 독해뿐 아니라 작문, 철자, 문법, 어휘
력에 있어서도 실력을 발휘한다고 증명하고 있다.

둘, 즐거움을 위한 일상적 독서가 중요하다
자유롭고 자발적인 독서를 하는 학생들은 독서가 즐겁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그런
데 즐거워서 일상적으로 하는 독서는 범교과적인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데 우
리에게 시사점이 있다. 교육성취도평가 국제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가 전 세계 32국의 210,000명의 학생들을 대상
으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경제적 수준과 관련 없이 일상적 즐거움을 위해 독서를 하
는 학생들과 책을 읽어주는 교사들이 있는 학생들이 독해실력이 가장 우수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 또한 즐거움을 위한 일상적 독서의 중요성을 증명한다.

셋, 독서시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독서지도의 관점에서 독서시간을 확보하여 적극적인 독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하다. 즐거움을 위한 일상적, 개인적 독서시간이 확보된 학생들이 그렇
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는 연구결과는 개인적 독서 시
간의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 그러나 학교도서관을 포함하여 어린이, 청소년에
게 봉사하는 도서관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는 분야는 독서 동기유발 프로그
램 제공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수동적인 프로그램이라는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

최근의 한 연구가 뒷받침하듯이 실제 미국의 사서교사 및 교사들은 동기유발을 중점
으로 하는 수동적인 독서프로그램에 집중한다고 한다.3) 그러나 독서를 실제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인 독서 동기흥미 유발 프로그램과 함께 적극적인 독서 프로그
램개발과 적용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정기적 독서시간을 가지거나 여름방
학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독서시간을 확보하는 등 적극적으로 독서할 수 있는 프
로그램을 개발하여 독서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독서 동기 유발 방법으로서 독
서의 즐거움을 몸소 체험하게 해주는 것 이상의 강력한 동기유발은 없다.

넷,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 자유로움의 기본은 선택권이다. 필자는 초등학생
을 대상으로 한 연구4)에서 독서를 즐기는 학생들은 독서를 위한 도서 선택권이 본인
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흔히 생각하듯 부모나 교사의 조언을 무
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자신들이 읽을 책을 정한다고 단호하게 언급하였다. 국외
연구들도 선택권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중학생들의 독
서 동기가 줄어드는 것은 자신들의 선택권이 줄어들고 교사의 통제권이 증가함과 동
시에 나타났다. 또한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도 자발적인 독서를 하기
때문에 도서 선택권이 있다고 믿고 있는 반면 학업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는 독서를 하지도 않을뿐더러 자신들에게 주어지는 도서목록은 독서를 강요한다고
여겨 독서를 매우 싫어한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5) 학교에서 독서를 강제할 때, 그리고
독서할 도서를 강요할 때 학생들의 선택권은 위협을 받는다. 학생들에게 부여되는 선
택권은 독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한다.

다섯,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자료에 대한 접근성 보장은 독서활동의 시작일 것이다. 다양한
자료에의 접근이 보장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독서를 더욱 즐긴다는 사
실은 이미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6) 다양한 유형의 읽을거리를 갖춘 환경에서 학생
들이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즐거운 일상으로서 도서 선택권을 가지고 독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많은 연구들이 말하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자유로이 선택하
여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독서를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바로 학교도서관으
로부터 비롯된다는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여섯, 독서의 보상은 독서 그 자체이다
학교도서관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독서동기 유발 정책은 보상 제도를 통해서일 것
이다. 국내 학교도서관계 역시 독서보상제도를 활용하는 가운데 독서통장, 스티커,
다독상 등의 방법들을 활용하며 심지어 여기서 더 나아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과 같이 독서와 독서결과물을 평가하여 점수로 보상하고자 하는 시도도 한다. 그런데
요즘 미국학교도서관계에서는 보상을 통한 독서 장려 정책에 대해 재고해보자는 목
소리가 있다. 그 이유는 독서보상제도는 학생들이 독서를 싫어할 것이라는 전제를 내
포하며 학생들 간의 경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보상을 통한 독서는 앞서 제시된 자
유롭고 자발적 독서, 즐거움을 위한 일상적 독서와 상치되는 개념으로서 독서는 독
서 자체가 보상이며 자체로서 추구되어야 할 활동이다.

▨ 조용히 앉아 책 읽기(Sustained Silent Reading)란?
앞에서 소개한 여섯 가지 핵심 개념이 녹아든 독서 프로그램에 대해 고민하는 사서
교사들에게 도입할 수 있는 독서 프로그램 중 하나로 ‘조용히 앉아 책 읽기’를 소개
한다.

SSR(Sustained Silent Reading)은 미국 전역의 학교에서 광범위하게 도입된 독
서프로그램이며 국내의 ‘아침독서’ 운동이 바로 이러한 SSR에 기반을 두어 제안된 독
서 프로그램의 하나이다. 1960년대에 Lyman C. Hunt, Jr.에 의해 처음 소개된 SSR의 기
본 개념은 말 그대로 정해진 공간에 ‘조용히 앉아서 실시하는 독서’이며 원래 학교에
서 실시하는 모니터 되거나 평가하지 않는 일상적 독서를 지칭하였다.

SSR 프로그램의 소개 후 많은 학자들이 SSR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
다. 이들은 일관적으로 SSR이 (학년을 망라하여) 학생들의 독해실력과 독서태도에 아
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고 덕분에 SSR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었다.7)
1985년 전국적인 보고서인 ‘책 읽는 국민 되기(Becoming a Nation of Readers)’는 SSR
이 미 전역의 초중고등학교에 도입되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면서 SSR이 주입식,
강제적 독서교육보다 독해실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8) 또한 SSR에
참여한 학생들이 집 또는 학교 밖 공간에서도 자발적인 독서를 더욱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 또한 SSR 도입으로 인한 학생들의 개인적 독서량의 확대를 증명하였다. 9)
학 교 교 육 환 경 에 서 S S R 시 행 을 위 한 여 덟 가 지 필 수 조 건 10)

➊ 접근성(Access) : 학생들이 각종 다양한 정보자료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도서, 잡지, 신문, 그리고 여타 자료들을 의미한다.

➋ 호소력(Appeal) : 학생들이 읽고 싶어 하는 호소력 있고 재미난 도서가 있어야 한다.
➌ 유익한 공간(Conducive environment) : 학생들은 독서하기 좋은 공간이 있어야 한다.
➍ 격려(Encouragement) : 교사와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읽고 있는 책에 대해
의견을 나눌 기회를 가지고 서로를 격려한다.
➎ 교원 교육(Staff training) : SSR은 수동적인 독서교육이 아니다. 교사들은 학생들을 도서와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배워야 하며 학생들이 자유로운 독서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➏ 무책무성(Non-accountability) : 학생들에게 독후에 강제되는 언어적 표현활동은 없어야 한다.
독후감 등을 제출해야 하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독서를 즐기도록 해야 한다.
➐ 독후활동(Follow-up activities) : 독후활동은 아주 세심하고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즐겁게 몰입할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➑ 독서시간 보장(Distributed time to read) : 학생들은 개인 독서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그러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습관적 독서가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학업이라 여기지 않고
일상적 독서를 하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SSR은 학생들이 개인적인 독서를 오랫동안, 몰입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SSR의 목적은 독서가 자동적으로 일상의 한 부분이 되도록 하는 것
에 있다. 이러한 독서는 점수에 대한 압박을 고려하지 않고 편안하게 할 수 있기 때문
에 학생들은 독서를 공부로 여기지 않고 하나의 즐거움으로 여기게 된다. 국내에서는
SSR이 아침독서 운동과 같은 형태로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학교도서관계는 SSR의
중요성을 받아들여 더욱 확대 실시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를 통해 자
유롭고 자발적인 독서, 즐거움을 주는 일상적 독서, 독서시간의 확보, 학생들의 선택
권이 보장된 독서, 다양한 자료가 구비된 독서환경, 그리고 독서 자체가 보상이 되는
독서를 위해 노력한다면 많은 연구들이 증명하듯이 다른 분야의 학업성취도도 높아
질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독서를 통해 학생들의 지적, 감정적 욕구가 충족될 것임은
강조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1) Krashen, S. D. (2004).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Inc.
2) 전게서
3) Todd, R.J., & Heinstrom, J. (2006). Report of phase two of Delaware school libraries survey: Student learning through Delaware school libraries, part 2. New Brunswick, NJ: Center for International Scholarship in School Libraries.
4)정진수. (미출판 원고). 어린이 도서선택에 대한 연구.
5) Gordon, C.A., & Lu, Ya-Ling (2008). "I Hate to Read-Or Do I?: Low Achievers and Their Reading."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Online
(11).Krashen, S. D. (2004).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Inc.
6) Krashen, S. D. (2004).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Inc.
7) Manning-Dowd, A.(1985). The effectiveness of SSR: A review of the research ERIC, ED276970.
8) Anderson, R. C., et al. (1985).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 Washington, D.C.: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9) Pilgreen, J., & S. Krashen. (1993). Sustained silent reading with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frequency, and reading enjoyment.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2, 21-23.
10) Pilgreen, J. & S. Krashen. (1993). Sustained silent reading with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frequency, and reading enjoyment.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2, 21-23.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