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칼럼 희망 교육을 향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학교도서관저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2-03-05 22:38 조회 6,845회 댓글 0건

본문

교육은 개인이나 공동체의 미래 희망을 키워가는 일이다. 다가올 미래에 대한 꿈을 꾸고 저마다 희망을 키우는 일은 다른 어떤 일보다도 설레고 즐거운 일이어야 한다. 교육은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다. 학교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은 행복한 삶의 과정 그 자체여야 한다. 학생들은 가슴 가득 희망과 꿈을 품고,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즐거움과 행복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은 어린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모두에게 가장 큰 고통을 주는 일이 되어버렸다. 학생들은 점수 따기 공부, 사교육과 선행학습에 짓눌려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온전한 성장을 방해받고 있다. 학부모들은 대학 진학이건 일자리건 그 어느 것도 보장해주지 않는 교육에 자녀를 맡긴 채,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선행학습과 사교육으로 진정시키며 돈을 쏟아 붓고 있다. 잠자는 학생들을 차마 깨우지 못하고 수업을 해야 하는 교사들은 교육이 실종되어가는 교실에서 교사로서 겪는 무력감을 호소한다.

이처럼 모두에게 고통이 되어버린 교육을 희망의 교육으로 뒤바꾸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학교가 꿈을 키우고 희망을 다듬는 곳이자, 배움과 성장의 참된 기쁨을 느끼는 곳이 되게 할 방안은 무엇일까? 피폐해진 우리 교육을 되살리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가장 먼저 할 일은 교육에 대한 관점과 철학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즉 교육을 개개인들의 전면적인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과정이자 건강한 민주사회를 구성할 민주 시민을 기르는 일이라고 보는 확고한 교육관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을 국가 경쟁력 향상이나 명문대 입학과 입신출세의 수단 정도로 보는 관점을 뛰어넘지 않으면 안 된다. 교육의 최우선 목표는 민주시민을 기르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로, 학교와 교사들의 기능과 역할과 교수법 등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달한 21세기 지식정보 사회에서 학생들은 교과서를 벗어나 인터넷이나 도서관 등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프로젝트나 세미나, 토론 등을 통해 생각을 키우고 가치관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경쟁을 통한 교육에서 협력을 통해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교육으로의 일대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셋째로, 1등만을 추앙하고 지원하면서 무한준비위원장경쟁을 부추겨 온 엘리트주의적인 교육 관행과 가치관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정부와 교육부는 꼴찌에서 일등까지 단 한 사람도 포기하지 않고 모두를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시키고, 적절한 직업을 갖는 데까지 지원하고 보장하겠다는 관점으로 정책을 세우고 행정을 펼쳐야 한다. 뒤처지는 다수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하는 사회, 약자와 강자가 함께 사는 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끝으로, 교육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려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차별 없이 좋은 교육을 받고 적정한 일자리까지 갖도록 보장하는 북유럽형 복지국가로의 사회구조 개혁이 필요하다. 모든 국민들이 학력이나 학벌에 관계없이 존엄한 인격체로 존중받으며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직업을 갖지 못한 사람에게는 실업 수당을 지원해서 최소한의 삶을 보장하는 사회, 약자를 배려하고 적극 지원하는 북유럽형 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노력과 함께 할 때 교육 문제는 비로소 근본적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되리라 믿는다.

핀란드 의회의 상임위원회 중 하나인 ‘미래위원회’(위원장 마르야 요한나 티우라, Marja Johanna Tiura)에 따르면, 4년 임기의 핀란드 정부는 임기 중 적어도 1회 이상, 15년 후의 국가발전 방향과 트렌드를 예측한 ‘국가미래보고서’에 중장기 국정 과제와 해결 방안을 담아 국회와 국민에게 보고해야 하며, 의회는 이를 검토하고 평가하여 좀 더 다듬어진 최종 보고서를 완성하도록 한다고 한다.

핀란드가 도입한 미래위원회와 국가미래보고서 제도처럼, 얽히고설킨 우리 교육 문제도 눈앞의 현안에 대한 찬반 논란이나 온갖 이해관계들을 뛰어넘어, 10년이나 20년 후의 미래를 내다보면서 좀 더 ‘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교육의 미래를 위해서 교육자와 학부모, 시민사회, 문화예술계, 정치권, 산업체 등의 대변인들이 둘러앉아 각자의 요구 사항과 하고 싶은 일, 각자의 해결책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여 교육미래보고서에 담아내보자.

교사들과 교육전문가들이 교육개혁의 원칙과 방향에 대한 초안을 잡고, 교과부 등 정부 당국자들이나 시도 교육감과 교육위원들, 시장 도지사와 시도의원들, 국회 교육상임위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가다듬고, 교육단체나 시민사회 단체 및 여야 정치인들이 소통하고 조율하여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사회적 협약을 만들어보자.

1972년부터 1991년까지 핀란드 국가교육청장을 역임했던 에르끼 아호(Erkki Aho)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개혁이 성공할 수 있었던 관건은 바로 핀란드 교육이 가야 할 방향과 원칙에 대해 핀란드 교육자들과 핀란드 국민들과 정치인들이 크게 합의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핀란드에서도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 기득권이나 이해관계, 또는 교육관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있었지만 그것을 뛰어넘는 커다란 공감과 합의를 추진한 것이 교육개혁 성공의 열쇠였다는 것이다.

입장이나 견해의 차이가 있는 부분은 뒤로 미루고 합의할 수 있는 것부터 정리해간다면, 우리나라에서도 핀란드처럼 새로운 교육을 향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21세기에 걸맞은 희망의 교육을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한국 교육의 희망찬 미래를 열기 위한 통 큰 대화를 빠른 시일 안에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광고 및 제휴문의 instagram
Copyright © 2021 (주)학교도서관저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